메뉴 건너뛰기

ENGLISH

XEDITION

Mobile Tab

미래 자동차 산업이 자율주행차와 커넥티드카를 중심으로 하는 스마트카와 배터리 기반의 전기차와 수소연료전지를 기반으로 하는 수소차 등 친환경차라는 두 축으로 빠르게 변모할 것으로 예상됐다.

 

산업 조사 전문 기관인 데이코산업연구소의 ‘2022 국내외 미래차 기술개발 동향과 사업화 전략’ 보고서에 따르면, 이런 메가 트랜드 속에서 기존 완성차 업계뿐 아니라 다양한 신생기업에 미래차 시장은 신성장동력으로 주목받고 있다.

 

특히 스마트카는 단순히 보다 나은 기술을 제공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탈 것’의 의미와 역할을 확장시키며, 이용자의 생활 양식을 크게 바꿀 것으로 기대되고 있고, 자동차 산업의 생태계를 구조적으로 재편하는 파괴적 혁신을 일으킬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자율주행차는 차량을 단순한 이동수단이 아니라 하나의 새로운 생활 공간으로 변모시키며, 이 공간은 연결성(Connectivity)을 통해 차량 내부에 한정되지 않고 무한하게 확장될 수 있다. 이런 변화로 자동차 산업은 IT·SW 영역으로 그 무게 중심을 빠르게 옮겨가고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반도체, 디스플레이와 함께 조명, 센서, 카메라, Radar·Lidar 등 다양한 분야의 IT 부품 기업들은 이미 스마트폰 이후의 먹거리로 스마트카 분야를 선정해 공략하고 있다. 애플, 구글, 화웨이, 삼성전자 등 글로벌 IT 업체들은 차량용 OS를 비롯해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분야 선점을 위한 플랫폼 구축에도 박차를 가하고 있다.

 

스마트카로 인해 창출되는 새로운 비즈니스 생태계도 주목받고 있다. MaaS, 퍼스널 모빌리티, 수요응답형 모빌리티 등의 스마트 모빌리티 산업은 이용 편의성과 유연성이 확보된 새로운 교통서비스(TaaS)라는 패러다임으로 통합되고 있다.

 

Orbis Research는 전 세계 스마트 모빌리티 시장 규모가 2018년 843.4억달러에서 연평균 22.23%의 높은 성장을 통해 2025년 3437.7억달러에 달할 것으로 전망한 바 있다.

 

한편 최근 출시되는 차량에 확대 적용되는 자동차SW 무선 업데이트 서비스인 ‘OTA (Over-the-Air)’ 기술과 서비스는 PC와 스마트폰의 경우처럼 향후 유료화를 통한 새로운 수익 모델로도 기대를 모으고 있다.

 

우리나라는 경쟁력 있는 완성차 업체와 반도체 등 핵심 기술력, 도로, 교통, 통신 등 인프라가 우수해 법 제도적 지원만 갖춰진다면 글로벌 시장에서 성공 가능성이 큰 것으로 평가되고 있으며, 이에 민관이 힘을 모아 미래차 시장 선점을 위한 정책 추진과 기술개발에 주력하고 있으며, 실증과 규제샌드박스를 통해 시장성 검증과 초기 시장 확보에 나서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당사는 자율주행차와 커넥티드카를 중심으로 한 스마트카와 전기차와 수소차를 중심으로 한 친환경차 등 미래차 관련 국내외 기술, 시장 동향과 주요국 정책 동향, 주요 기업 사업 전략 등을 종합적으로 정리 분석해 본서를 출간하게 됐으며 시장의 변화를 예측하고, 경쟁전략 수립에 유용한 참고자료가 될 수 있도록 하는 데 중점을 뒀다.

 

데이코산업연구소는 모쪼록 본 보고서가 미래차 산업뿐만 아니라 관련 분야에 종사하는 분들의 업무에 미력하나마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최세영 기자

데일리경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수
공지 [보도자료] 제20회 한국로봇종합학술대회 최우수 논문상 '충북대 김곤우 교수 팀' 차지 관리자 2025.02.17 69
공지 [보도자료] 지능로봇공학과 김곤우 교수, 첨단분야 혁신융합대학사업 교육부 장관표창 수상 관리자 2025.01.24 102
공지 [보도자료]충북대 Clothoid-T팀 '2024 스케일카 자율주행 경진대회' 교육부장관상 수상 관리자 2024.11.26 140
공지 [보도자료] 지능로봇학과 타요이글스 'F1 Tenth Korea Championship 자율주행대회' 준우승 쾌거 관리자 2024.11.06 192
공지 [보도자료] 미래 안보주역들이 보는 군 발전 방향은 (김태민 지능로봇공학과 3학년 최우수상 수상) 관리자 2024.11.04 137
공지 [보도자료] [자막뉴스] '운전자 없어도 이 정도'...자율주행 기술 선보여(이전혁 제어로봇공학전공 박사수료) 관리자 2024.11.04 100
공지 [보도자료] 충북대 Clothoid-R팀, 미래 자동차 기술은 우리가 선도한다! 관리자 2024.09.30 188
공지 [보도자료] 충북대 지능로봇공학과 SUVLab팀, 정찰 드론 기술 앞섰다! 국방부장관배 드론봇챌린지 수목통과 정찰드론 종목 1위 관리자 2024.09.13 10973
공지 [보도자료] 충북대, ‘F1 Tenth 그랑프리 자율주행대회’ 준우승 관리자 2024.06.11 1985
공지 [보도자료] 충북대 자율주행 로봇레이스 `두각' 관리자 2024.05.28 1909
공지 충북대 자율주행 로봇레이스 `두각' 관리자 2024.05.28 1785
공지 [보도자료] 충북대 박찬식 교수, 과학기술진흥유공 장관표창 관리자 2024.05.09 1877
공지 [보도자료]김곤우 충북대 지능로봇공학과 교수, 산업통상자원부장관 표창 수상 관리자 2023.10.18 2105
공지 [보도자료] 첨단기술 융합한 ‘로봇’ 일상화 시대 맞이…업계 움직임도 활기 관리자 2023.05.08 1901
공지 [보도자료] Clothoid-R팀, 2023 자율주행 로봇레이스대회 우수상 수상 관리자 2023.04.20 1965
공지 [보도자료] 국방혁신4.0 상징 국방AI센터, “이공계 석·박사 출신 전문사관 등용하고 데이터 접근성 확대해야” 관리자 2023.03.13 1933
62 [보도자료] 충북대 디지털혁신공유대학사업단 '미래자동차 기술' 선도! 관리자 2022.01.29 1631
61 [뉴스레터 135호] 자율주행자동차의 미래는 우리가 선도합니다! 관리자 2022.01.04 3402
60 [수상] 충북대학교 클로소이드팀, 2021 현대자동차그룹 자율주행챌린지 준우승 쾌거 관리자 2021.12.28 3014
59 [보도자료] 클로이 로봇 관리자 2021.11.30 1636
58 [보도자료]현대차, 서울 상암동에서 '자율주행 챌린지' 개최 관리자 2021.11.30 1614
57 [보도자료] 충북대학교 전자정보대학, 캡스톤디자인 졸업작품전 성료 관리자 2021.11.30 1657
56 [보도자료] 충북대학교 디지털혁신공유대학사업단, 미래자동차 동아리 경진대회 개최 관리자 2021.11.30 1628
55 충북대 디지털혁신공유대학사업단, 미래자동차 동아리 경진대회 개최 file 관리자 2021.11.28 1721
54 [보도 자료] 충북대 산업인공지능연구센터, 창업 아이디어 빛났다 file 관리자 2021.11.18 1929
53 [보도자료] 자율주행 스타트업 포티투닷, 1천40억원 규모 시리즈A 유치 file 관리자 2021.11.02 1648
52 [보도자료] 시옷 자율주행 보안 모듈, TTA 차량통신 기술 검증 완료 file 관리자 2021.11.02 1627
51 [보도자료] 충북,‘대형 인공지능 연구개발’실증 사업화 전진기지로 만든다 관리자 2021.11.02 1617
50 [보도자료] 충북TP, AI 로봇 코딩 교육 관리자 2021.11.02 4386
49 [보도자료] 자율주행 때마다 ‘핸들 접어서’ 숨겨둘까 file 관리자 2021.11.02 1625
48 [보도자료] 롯데정보통신, '중앙제어' 인수…스마트 모빌리티 역량 확보 관리자 2021.11.02 1630
47 [보도자료] 충북대 '2021 한국전자전'서 자율주행 자동차 전시 file 관리자 2021.11.02 1623
» [보도자료] 스마트카, 전기차등 친환경차, 신성장동력으로 발돋움..데이코산업연구소 관리자 2021.11.02 1642
45 [보도자료] LG전자, 실내외 이동 로봇 첫 선봬…연말 시범 운영 관리자 2021.07.20 2049
44 [보도자료] 바다 위 4차 산업혁명…국내 첫 선박 완전 자율운항 file 관리자 2021.06.17 1638
43 [보도자료] 충북대, 디지털 신기술 인재양성 혁신공유대학사업 최종 선정(지능로봇공학과) file 관리자 2021.05.07 1700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