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ENGLISH

XEDITION

Mobile Tab

 

초거대 AI 모델이 의료분야에도 진출한다. 흉부 엑스레이(X-ray)부터 CT, MRI 등 의료영상 분야에 초거대 AI가 접목될 예정이다. 앞으로 상용화되면 기술 고도화를 위해 지속적으로 데이터 학습도 꾸준히 진행한다.

카카오브레인(대표 김일두)이 가톨릭대학교 가톨릭중앙의료원(원장 이화성)과 의료영상 분야 초거대 AI 모델 연구를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25일 밝혔다. 이번 협약으로 초기 흉부 엑스레이부터 CT는 물론 MRI, 초음파 영상까지 연구 분야를 확대한다. 

 

(오른쪽)김일두 카카오브레인 대표와 (왼쪽)이화성 가톨릭대학교 가톨릭중앙의료원 원장이 의료영상 분야 초거대 AI 모델 연구를 위한 업무협약(MOU)을 25일 체결했다. (사진=카카오브레인)

 

카카오브레인은 ▲의료영상 분야 초거대 AI 모델 연구 ▲연구 인프라 제공 ▲전문 연구 인력·기술역량 제공 ▲기술 사업화를 위한 임상·인허가 관리 ▲의료영상 서비스 사업화를 담당한다. 가톨릭중앙의료원은 ▲관련 연구 협력 ▲의학 자문·학술 교류 ▲의료영상 분야의 파이프라인 발굴 지원 역할을 할 방침이다.

카카오브레인과 가톨릭중앙의료원은 공동 연구를 통해 의료영상 분야에서 최대 규모 데이터를 학습한 초거대 AI 모델을 적용한 ‘의료영상 서비스’개발을 지원한다. 이를 통해 글로벌 헬스케어 시장 고도화를 선도하고, 의료영상 분야에서 AI 역할을 가속화할 계획이다.

 


초거대 AI, 고도화 위해 꾸준한 데이터 학습 진행

 

의료영상 데이터 확보는 까다롭다. (사진=셔터스톡)

 

AI 기술이 고도화됨에 따라 국내 헬스케어 시장에 방대한 의료영상 데이터를 분석하기 위한 AI 도입 필요성이 커졌다. 특히 초거대 AI로 전문 의료진을 도와 의료영상 판독 업무 효율성을 올리고, 더 정확한 진단이 가능해진다는 점에서 기대가 크다.

그동안 의료진과 관련 연구종사자들은 의료영상 판독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박차를 가했다. 그러나 의료 데이터 확보가 어려웠다. 환자 의료영상은 개인정보로 분류돼서다. 관련 분야에 종사하는 한 변호사는 "국내는 정보 주체에게 동의를 받아야만 의료 데이터 이용이 가능하다"며 "이미지·영상 주체로부터 일일이 다 동의 받는 것은 현실적으로 어렵다"고 밝혔다. 

의료 이미지를 수집하려면 환자에게 동의를 직접 구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는 의미다. 이러한 한계로 광범위한 인구를 반영할 수 있는 의료영상 빅데이터 구축까지 도달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카카오-가톨릭중앙의료원이 추진하는 초거대 AI모델이 의료영상에 본격적으로 도입되면 광범위한 데이터 수집 어려움을 극복할 수 있을 전망이다. 관계자는 "해당 모델이 추후 상용화되면 기술 고도화를 위해 지속적인 데이터 학습을 진행할 방침이다"고 <AI타임스>와의 통화에서 밝혔다.

김일두 카카오브레인 대표는 “자사 초거대 AI 기술 역량으로 가톨릭중앙의료원과 수준 높은 의료영상 서비스 제공을 위한 연구에 참여하게 돼 기쁘다”며 “독보적인 기술력을 확대 적용해 연구 사업 분야를 늘릴 것이다”고 말했다.

김대진 가톨릭대학교 정보융합진흥원 원장은 “첨단 의료 인프라와 카카오브레인 기술력을 접목해 고도화된 의료영상 서비스를 개발해 나갈 수 있을 것이다”며 “이번 협력으로 AI 기술을 적용한 의료영상 서비스 지원을 선도하겠다”고 전했다.

 

출처 : 김미정 기자 http://www.aitimes.com/news/articleView.html?idxno=145953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수
공지 [보도자료] 제20회 한국로봇종합학술대회 최우수 논문상 '충북대 김곤우 교수 팀' 차지 관리자 2025.02.17 69
공지 [보도자료] 지능로봇공학과 김곤우 교수, 첨단분야 혁신융합대학사업 교육부 장관표창 수상 관리자 2025.01.24 102
공지 [보도자료]충북대 Clothoid-T팀 '2024 스케일카 자율주행 경진대회' 교육부장관상 수상 관리자 2024.11.26 140
공지 [보도자료] 지능로봇학과 타요이글스 'F1 Tenth Korea Championship 자율주행대회' 준우승 쾌거 관리자 2024.11.06 192
공지 [보도자료] 미래 안보주역들이 보는 군 발전 방향은 (김태민 지능로봇공학과 3학년 최우수상 수상) 관리자 2024.11.04 137
공지 [보도자료] [자막뉴스] '운전자 없어도 이 정도'...자율주행 기술 선보여(이전혁 제어로봇공학전공 박사수료) 관리자 2024.11.04 100
공지 [보도자료] 충북대 Clothoid-R팀, 미래 자동차 기술은 우리가 선도한다! 관리자 2024.09.30 188
공지 [보도자료] 충북대 지능로봇공학과 SUVLab팀, 정찰 드론 기술 앞섰다! 국방부장관배 드론봇챌린지 수목통과 정찰드론 종목 1위 관리자 2024.09.13 10971
공지 [보도자료] 충북대, ‘F1 Tenth 그랑프리 자율주행대회’ 준우승 관리자 2024.06.11 1985
공지 [보도자료] 충북대 자율주행 로봇레이스 `두각' 관리자 2024.05.28 1909
공지 충북대 자율주행 로봇레이스 `두각' 관리자 2024.05.28 1785
공지 [보도자료] 충북대 박찬식 교수, 과학기술진흥유공 장관표창 관리자 2024.05.09 1877
공지 [보도자료]김곤우 충북대 지능로봇공학과 교수, 산업통상자원부장관 표창 수상 관리자 2023.10.18 2105
공지 [보도자료] 첨단기술 융합한 ‘로봇’ 일상화 시대 맞이…업계 움직임도 활기 관리자 2023.05.08 1901
공지 [보도자료] Clothoid-R팀, 2023 자율주행 로봇레이스대회 우수상 수상 관리자 2023.04.20 1965
공지 [보도자료] 국방혁신4.0 상징 국방AI센터, “이공계 석·박사 출신 전문사관 등용하고 데이터 접근성 확대해야” 관리자 2023.03.13 1933
102 [보도자료]테슬라도 못하는 들판 자율주행, 韓국방로봇이…美·UAE 러브콜 [1] 관리자 2022.07.27 78
» [보도자료]초거대 AI 모델, 이젠 의료영상에도 적용한다 관리자 2022.07.27 72
100 [보도자료]‘2022 대학생 자율주행 경진대회’ 스타트!…우승상금 5000만원 관리자 2022.07.27 107
99 [보도자료]스프링클라우드, 자율주행 로봇셔틀 '민트B' 개발 완료 관리자 2022.07.27 79
98 [보도자료]자율주행차, 머지않은 미래의 현실 관리자 2022.07.27 45
97 [수상] 충북대 학생들, 자율주행 분야의 최고 유망주가 되다! 관리자 2022.07.27 2407
96 [보도자료]“자율주행, 다양한 산업 분야와 ‘함께 발전’할 것” 관리자 2022.07.15 88
95 [보도자료]모트렉스 "자율주행 상용차용 플랫폼 기술개발 주관 연구기관 선정" 관리자 2022.07.15 73
94 [보도자료]자율주행 자동차, 이젠 교통 수신호도 읽는다 관리자 2022.07.15 107
93 [보도자료] CSF 2022 “2024년 도심 자율주행 상용화” 관리자 2022.07.15 106
92 [보도자료]넥센, 美 자율주행 스타트업 '메이 모빌리티'에 투자 관리자 2022.07.15 77
91 [보도자료] ‘자율주행 주차로봇’ 확대 보급 … “모빌리티 시대”로 성큼 관리자 2022.06.04 93
90 [보도자료] 현대차, '자율주행·로보틱스' 미래 모빌리티 인재 육성 관리자 2022.06.03 112
89 [보도자료] '삼성로봇' 초읽기..협력사 삼성전자 부회장 입 주목하는 까닭 관리자 2022.06.03 166
88 [보도자료]한경연, “자율주행 상용화 본격화…관련 규제 시급히 개선해야” 관리자 2022.05.09 95
87 [보도자료]자율주행 기술에도 레벨이 있다? 관리자 2022.05.09 84
86 [보도자료]"주차장이 사라진다"…자율주행차와 UAM이 바꿀 미래 관리자 2022.05.09 138
85 [보도자료]도로교통공단, 한라대와 '제1회 국제 대학생 EV자율주행 경진대회' 개최 관리자 2022.05.09 85
84 [보도자료]"전기차·자율주행차, 글로벌 일자리 40만개 지운다" 관리자 2022.05.09 100
83 [보도자료] 운전대 없는 자율주행차 생산 승인 관리자 2022.04.08 71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