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방 분야 인공지능(AI) 적용 및 확산을 선도하는 ‘컨트롤타워’ 역할을 담당할 ‘국방 AI센터’를 국방부 산하 독립된 공공기관으로 신설하는 방안이 제시됐다.
한국국방기술학회는 9일 서울 용산구 육군회관에서 국방부와 공동으로 ‘국방 인공지능센터 창설 방안 논의를 위한 공청회’를 개최하고 국방부로부터 수주한 ‘국방 AI센터 창설 및 운영방안’ 연구의 중간결과를 발표했다.
이날 발표자로 나선 박영욱 한국국방기술학회 이사장은 국방 AI센터를 국방부 산하 공공기관인 한국국방연구원(KIDA) 또는 국방과학연구소(ADD) 내에 설치하거나 국방부 소속기관으로 신설하는 방안을 제시했으며, 궁극적으로는 국방부 산하에 독립된 공공기관으로서 운영하는 로드맵을 내놓았다.
박 이사장은 발표 서두에 현재 국방 AI 관련 정책 및 담당조직이 분산돼 있고, 국방 ICT기획이 무기체계 중심의 소요기획 체계와 이원화된 데다, 사용자(군) 중심의 AI 적용 지능화체계 구축의 어려움을 지적하면서 인프라 구축과 법규·제도 정비가 필요하다고 역설했다.
또한, 미국과 영국 등 해외사례를 분석해 국방 AI 중앙조직 설립, 유연한 획득 프로세스로 개선, 산·학·연 협력체계 마련, 전문인력 확보, 윤리지침과 분야별 기준 설정, AI·데이터·IT 인프라의 통합적 협업체계 중요 등 벤치마킹 요소도 찾아냈다.
이어 박 이사장은 국방 AI센터의 조직 기능을 설명하면서 국방AI정책기획팀, AI데이터관리팀, AI플랫폼(인프라)팀, AI신기술팀, 유무인체계사업팀, 국방AI현안대응팀, 국방AI인재양성팀과 AI·무인체계 협의회로 구성하는 안을 제안했다.
또 센터 구성에 필요한 소요 인력을 전문기술인력 70~75명, 관리 인력 48~61명으로 추정했으며, 전문기술인력은 다시 AI고급 및 국방연계, 소프트웨어, 데이터 전문인력으로 구분해 부서 및 임무별로 소상히 제시했다.
박 이사장은 현재 군내 전문인력 20명 내외, 과학기술 전문사관 5~10명, 사이버전문인력 5~10명, 병(과학기술, 소프트웨어개발, 정보보호) 5~10명 등 35~50명이 우선 활용 가능하다며, 부족한 인력은 과학기술사관 석·박사트랙, 전문연구요원 활용, 민간전문가 채용 등으로 확보하는 방안을 내놓았다.
과학기술사관 석·박사트랙은 이공계 석·박사 학위수료자와 졸업대상자를 중위 또는 대위로 임관시켜 국방 AI센터에 3년간 의무 복무하게 하거나 석·박사 입학예정자를 대상으로 학위 취득을 지원하고 졸업 후 중위 또는 대위로 임관해 3~4년 의무 근무하게 하는 방식을 말한다.
박 이사장은 ‘국방 AI센터 중장기 발전전략’에서 인력 획득을 위해 AI 과학기술 특기를 신설하고 나아가 과학기술병과로 발전시키며, AI센터 발전과 AI 기반 지능화체계 사업 발전의 단계적 모델과 미래의 국방 AI센터인 ‘K-DAIC’의 조직 구성도를 설명하면서 발표를 마무리했다.
이어 윤경용 페루 산마틴대 석좌교수가 좌장을 맡아 지정토론 및 플로어 의견수렴이 진행됐다. 이기석 ADD 인재기획부장은 “과학기술사관 석·박사트랙이 성공하려면 장기복무에 따른 인센티브 마련이 필요하며, 민간전문가는 파격적인 대우가 가능해야 확보된다”며 전문가 채용과 관리의 어려움을 언급했다.
김곤우 충북대 지능로봇공학과 교수는 데이터 확보의 중요성과 협업 과정의 보안 문제 해결을 강조했고, 윤의철 전 육군교육사령관은 “군에 사용할 수 있는 데이터가 거의 없다”면서 “교육훈련을 제대로 시켜서 쓸모있는 데이터를 축적해 놓아야 사용이 가능하다”고 말했다.
심승배 KIDA 국방정책AI연구센터장은 “아군 피해 방지를 위해서라도 자율화 기능에 대한 가이드라인이 필요하다”며 “명확한 답은 없지만 많은 논의를 통해 기준을 정해야 한다”고 주장했고, 정동훈 광운대 교수도 AI 윤리의 가이드라인 필요성과 신뢰, 투명성 확보 등을 언급했다.
최호천 전 방위사업청 미래전력사업본부장은 “전문가를 파격적으로 대우할 수 없고, 데이터 공유가 보안규정에 저촉되며, AI 장비는 납품 후 학습이 시작돼 계약 제도가 바뀌어야 한다”며 “별도의 법령을 마련해 접근하지 않으면 추진이 어렵다”고 지적했다.
이날 공청회는 200명 가까운 인원이 참석해 끝까지 발표와 토론을 지켜보며 다양한 의견을 제기하는 등 성황을 이루었다. 유동준 국방부 전력자원관리실장은 마무리 발언에서 “국방 AI센터 창설 방향을 잡는데 많은 도움이 되었다”면서 “연구가 좀 더 진전되면 다시 공청회를 열어 의견수렴을 하겠다”고 말했다.
출처 : 뉴스투데이 김한경 안보전문기자 khopes58@news2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