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2024학년도 전기 일반대학원 석․박사(통합)과정
수료사정 지침 |
||
|
1 |
1 |
|
관련 규정 |
□ 충북대학교 학칙
- 제32조(수업연한), 제33조(재학연한), 제56조(선수과목 이수), 제60조(학기당 취득학점), 제69조(성적), 제79조(졸업학점 및 수료학점 등)
□ 충북대학교대학원시행세칙
- 제10조(교과목이수 및 학점), 제11조(전공공통과목 및 부전공과목), 제11조의2(다른학과, 다른 대학원 수강 및 학점인정), 제12조(선수과목 및 이수학점 지정), 제13조(선수과목 이수 및 수강학점), 제14조(수강신청)
□ 충북대학교 외국대학과의 공동학위수여에 관한 운영규정 제10조(학위수여)
□ 충북대학교 외국대학과의 복수학위제 운영규정 제13조(졸업요건)
2 |
|
수료 대상 |
□ 2024학년도 제2학기 현재 석·박사 2년(4학기), 통합과정 4년(8학기)이상 등록을 필하고, 재학 연한(석사과정 3년, 박사과정 5년, 통합과정 6년)을 초과하지 않은 재학생
□ 2024학년도 제2학기 현재 석·박사 3학기(통합과정 6학기) 등록을 필하고, 1학기(통합과정 2학기) 수업연한 단축 승인을 받은 재학생
3 |
|
수료사정 기준(석・박사과정: 2018학년도 입학~ , 통합과정: 2017학년도 입학~) |
□ 졸업사정의 일반원칙
○ 석·박사(통합)과정의 수료학점 충족 여부
○ 석·박사(통합)과정의 최소 공통과목 및 전공 학점 충족 여부
○ 부전공 학점 및 타 대학원 인정학점 초과 이수 여부
○ 선수학점 및 연구윤리 및 연구과제 이수 여부
○ 수업연한 및 재학연한 확인
○ 자연과학계, 공학계 및 의학계열 학과(부) 학생의 경우, 2020학년도 입학자부터 안전관리본부에서 제공하는 실험실 안전교육을 석․박사과정은 12시간, 통합과정은 24시간 이수여부 반드시 확인
○ 석사에서 통합으로 전환한 학생들의 경우 ‘통합전환 승인연도’를 ‘입학연도’로 해석하여 수료사정 진행
○ 2022학년도 2학기부터는 「연구윤리 및 연구과제Ⅰ,Ⅱ」수강신청 이전 또는 수강신청 해당 학기에 ‘연구윤리’ 온라인 교육 이수여부를 반드시 확인
□ 석사과정의 수료사정 기준
○ 교육과정 기준은 입학년도 적용
- 단, 재학 중 교육과정 개편이 있을 경우 졸업년도 교육과정으로도 적용 가능
○ 수료학점: 24학점(연구윤리 및 연구과제Ⅰ포함) 이상 이수
○ 공통과목 이수: 6학점 이상 반드시 이수
- 2022학년도 이전 입학자: 6학점 이상 반드시 이수
- 2023학년도 이후 입학자: 6학점 이상 반드시 이수(기초공통 3학점 이내, 전공공통 3학점 이상)
- 협동과정의 학생은 협동학과 전공과목 6학점 이상 이수
○ 전공과목 이수: 9학점 이상 반드시 이수
- 2022학년도 이전 입학자의 경우, 공통과목 의무이수를 초과한 과목은 해당 학과(부)의 전공 과목으로 인정할 수 있음.
- 2023학년도 이후 입학자의 경우, 전공공통과목 의무이수를 초과한 과목은 해당 학과(부)의 전공심화 과목으로 인정할 수 있음. ※기초공통 초과학점은 불인정
○ 부전공 이수: 6학점 이내 이수학점만 인정
○ 선수과목 이수: 선수과목은 반드시 이수하여야 하고, 이수학점은 총 졸업학점에서 제외
<*관련근거 : 대학원시행세칙 제12조∼13조>
○ 연구윤리 및 연구과제Ⅰ(3학점, 지도교수가 개설한 연구과제) 반드시 이수
○ 기타
- 취득한 전 과목 성적 평점 평균이 2.60 이상이어야 함
* 선수과목의 학점은 성적계산에서제외
- 학기당 취득학점은 연구과제 포함하여 9학점을 초과할 수 없음
(다만, 주임교수의 추천과 총장의 승인을 얻어 3학점까지 초과하여 신청할 수 있음)
- 선수과목 이수대상자는 지정된 과목 및 학점을 모두 이수하여야 함
- 자연과학계, 공학계 및 의학계열 학과(부) 학생의 경우, 2020학년도 입학자부터 안전관리 본부에서 제공하는 실험실 안전교육을 석․박사과정은 12시간 이상 이수하여야 함
□ 박사과정의 수료사정 기준
○ 교육과정 기준은 입학년도 적용
- 단, 재학 중 교육과정 개편이 있을 경우 졸업년도 교육과정으로도 적용 가능
○ 수료학점
- 2019학년도 이전 입학자: 33학점(연구윤리 및 연구과제Ⅱ포함) 이상 이수
- 2020학년도 이후 입학자: 36학점(연구윤리 및 연구과제Ⅱ포함) 이상 이수
○ 공통과목 이수: 6학점 이상 반드시 이수
- 2022학년도 이전 입학자: 6학점 이상 반드시 이수
- 2023학년도 이후 입학자: 6학점 이상 반드시 이수(기초공통 3학점 이내, 전공공통 3학점 이상)
- 협동과정의 학생은 협동학과 전공과목 12학점 이상 반드시 이수
○ 전공과목 이수: 18학점 이상 반드시 이수
- 2022학년도 이전 입학자의 경우, 공통과목 의무이수를 초과한 과목은 해당 학과(부)의 전공과목으로 인정할 수 있음.
- 2023학년도 이후 입학자의 경우, 전공공통과목 의무이수를 초과한 과목은 해당 학과(부)의 전공심화 과목으로 인정할 수 있음. ※기초공통 초과학점은 불인정
○ 부전공 이수: 6학점 이내 이수학점만 인정
○ 선수과목 이수: 선수과목은 반드시 이수하여야 하고, 이수학점은 총 졸업학점에서 제외
<*관련근거 : 대학원시행세칙 제12조∼13조>
○ 연구윤리 및 연구과제Ⅱ(3학점, 지도교수 개설한 연구과제) 반드시 이수
○ 기타
- 취득한 전 과목 성적 평점 평균이 2.60 이상이어야 함
* 선수과목의 학점은 성적계산에서제외
- 학기당 취득학점은 연구과제 포함하여 9학점을 초과할 수 없음
(다만, 주임교수의 추천과 총장의 승인을 얻어 3학점까지 초과하여 신청할 수 있음)
- 선수과목 이수대상자는 지정된 과목 및 학점을 모두 이수하여야 함
- 석사과정에서 이수한 교과목을 박사과정에서 중복 이수한 경우 졸업학점에서 제외함
※ 박사과정생 하위과정 이수교과목과 동일 교과목 인정서 제출 학과(부)는 공문 참조
- 자연과학계, 공학계 및 의학계열 학과(부) 학생의 경우, 2020학년도 입학자부터 안전관리본부에서 제공하는 실험실 안전교육을 석․박사과정은 12시간 이상 이수하여야 함
□ 통합과정의 수료사정 기준
○ 교육과정 기준은 입학년도 적용
- 단, 재학 중 교육과정 개편이 있을 경우 졸업년도 교육과정으로도 적용 가능
○ 수료학점
- 2017학년도 이전 입학자: 60학점(연구윤리 및 연구과제Ⅱ포함) 이상 이수
- 2019학년도 이전 입학자: 54학점(연구윤리 및 연구과제Ⅱ포함) 이상 이수
- 2020학년도 이후 입학자: 57학점(연구윤리 및 연구과제Ⅱ포함) 이상 이수
○ 공통과목 이수
- 2017학년도 이전 입학자: 3~6학점 이상 반드시 이수
- 2022학년도 이전 입학자: 9학점 이상 반드시 이수
- 2023학년도 이후 입학자: 9학점 이상 반드시 이수(기초공통 3학점 이내, 전공공통 6학점 이상)
- 협동과정의 학생은 협동학과 전공과목 12학점 이상 반드시 이수
○ 전공과목 이수
- 2017학년도 이전 입학자: 36학점 이상 반드시 이수
- 2018학년도 이후 입학자: 30학점 이상 반드시 이수
- 2022학년도 이전 입학자의 경우, 공통과목 의무이수를 초과한 과목은 해당 학과(부)의 전공과목으로 인정할 수 있음.
- 2023학년도 이후 입학자의 경우, 전공공통과목 의무이수를 초과한 과목은 해당 학과(부)의 전공심화 과목으로 인정할 수 있음. ※기초공통 초과학점은 불인정
○ 부전공 이수
- 2017학년도 이전 입학자: 15학점 이내 이수학점만 인정
- 2018학년도 이후 입학자: 12학점 이내 이수학점만 인정
○ 선수과목 이수: 선수과목은 반드시 이수하여야 하고, 이수학점은 총 졸업학점에서 제외
<*관련근거 : 대학원시행세칙 제12조∼13조>
○ 연구윤리 및 연구과제Ⅱ(3학점, 지도교수 개설한 연구과제) 반드시 이수
○ 기타
- 취득한 전 과목 성적 평점 평균이 2.60 이상이어야 함
* 선수과목의 학점은 성적계산에서제외
- 학기당 취득학점은 연구과제 포함하여 9학점을 초과할 수 없음
(다만, 주임교수의 추천과 총장의 승인을 얻어 3학점까지 초과하여 신청할 수 있음)
- 선수과목 이수대상자는 지정된 과목 및 학점을 모두 이수하여야 함
- 자연과학계, 공학계 및 의학계열 학과(부) 학생의 경우, 2020학년도 입학자부터 안전관리본부에서 제공하는 실험실 안전교육을 통합과정은 24시간 이상 이수하여야 함
3 |
|
수료사정 시 유의사항 |
○ 2017년 이전 입학자 중 2018. 3. 1.자 기준 재적상태인 경우, 총 수료학점(박사: 33학점, 통합: 54학점)으로 적용
○ 교과목명이 같으면 동일 교과목으로 인정되어 수료학점에 제외
- 석사과정에서 이수한 교과목을 박사과정에서 이수하는 경우(학점 불인정)
○ 선수과목(학점)은 반드시 이수하여야 하며, 수료학점에서 제외됨
○ 부전공 이수학점 기준 초과학점은 총 취득학점에서 제외되므로 전공과목 인정 신청 지도
※ 협동과정생의 참여학과 전공과목 이수에 따른 부전공→전공공통 신청은 개신누리 개별신청하며, 그 외 타 학과 전공과목 이수에 따른 부전공→전공심화 인정 신청은 공문으로 처리(석사 6학점, 박사・통합 12학점 이내)
○ 2023학년도 이후 입학자의 기초공통 3학점 이내 기준 초과학점은 총 취득학점에서 제외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