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ENGLISH

XEDITION

Mobile Tab

전산학부 김민수 교수팀, 초대규모 그래프 처리용 ‘연산 프레임워크’ 개발
고성능 컴퓨터 25대로 2000초 걸리던 작업, 단일 컴퓨터로 1184초만에 해결

▲한국과학기술원(KAIST) 전산학부 김민수 교수팀. (왼쪽부터) 윤희용 박사과정, 한동형 박사과정, 오세연 박사과정, 김민수 교수(사진=KAIST)
▲한국과학기술원(KAIST) 전산학부 김민수 교수팀. (왼쪽부터) 윤희용 박사과정, 한동형 박사과정, 오세연 박사과정, 김민수 교수(사진=KAIST)

인공지능(AI) 분야에서 지식 체계나 데이터베이스를 그래프로 저장하고 활용하는 사례가 급증하고 있다. 그러나 복잡도가 높은 그래프 연산은 그래픽처리장치(GPU) 메모리의 제한으로 인해 매우 작은 규모의 단순한 연산만 처리할 수 있다는 한계가 있었다. 이런 작업이 필요할 경우 별도의 고효율 시스템을 꾸며야 하는 등 부담이 적지 않았다.

이런 가운데 국내 연구진이 고효율 연산 프레임워크(복잡하게 얽혀있는 문제를 해결하는 데 도움을 주는 구조)를 개발하는데 성공했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 전산학부 김민수 교수팀은 그간 25대의 컴퓨터로 2000초가 걸리던 연산을 단 한 대의 GPU 컴퓨터로 처리할 수 있는 세계 최고 성능의 연산 프레임워크를 개발하는데 성공했다고 27일 밝혔다.

연구진은 한정된 크기의 메모리를 지닌 GPU를 이용해 1조 ‘간선 규모(그래프자료 구조에서 두 정점(Node 또는 Vertex)을 연결하는 선이나 경로)’의 초대규모 그래프에 대해 다양한 연산을 고속으로 처리할 수 있는 스케줄러 및 메모리 관리 기술들을 갖춘 일반 연산 프레임워크(일명 GFlux, 지플럭스)를 개발했다.

연구팀은 그래프 연산을 GPU에 최적화된 단위 작업인 ‘지태스크(GTask)’로 나누고, 이를 효율적으로 GPU에 배분 및 처리하는 특수한 스케줄링 기법을 새롭게 개발했다. 기존 방식으로 작업할 경우 1조 간선 규모의 그래프 크기는 9테라바이트(TB)에 이른다. 연구팀은 새롭게 개발한 기법을 적용해 ‘HGF’라는 자체 포맷을 개발했다. 이를 활용하니 이 크기를 4.6테라바이트(TB)로 절반 가까이 줄일 수 있었다. 또 GPU에서는 메모리 정렬 문제로 그간 사용되지 않았던 3바이트의 주소 체계를 최초로 활용, GPU 메모리 사용량 역시 약 25% 절감했다.

가장 큰 장점은 거대 기업인 ‘엔비디아(NVIDIA)’ 종속에서 크게 벗어날 수 있다는 점이다. 엔비디아는 자체 메모리 규격인 ‘쿠다(CUDA)’ 방식의 통합 메모리(Unified Memory)’를 사용하는데, 새롭게 개발된 기법은 이에 전혀 의존하지 않는다. 따라서 메모리 부족으로 인한 연산 실패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컴퓨터 메인 메모리와 GPU 메모리를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G태스크  전용 메모리 관리 기술 역시 핵심 기술 중 하나로 개발했다.

김민수 교수팀은 데이터 분석 과정에서 AI 성능을 검증하는 방식인 ‘삼각형 개수 세기’ 측정법을 이용해 해당 기술의 성능을 검증했다. 최고 성능의 컴퓨터 25대를 이용해 약 2000초가 걸리던 연산량을 지플럭스 기술을 이용해 실험한 결과, 단일 컴퓨터만으로 약 두 배 빠른 1184초 만에 처리하는 데 성공했다. 이는 단일 컴퓨터로 현재까지 알려진 최대 규모의 그래프 처리 속도다.

김민수 교수는 “최근 규모 그래프에 대한 고속 연산 처리 기술의 중요성이 점점 커지고 있다”며 “지플럭스 기술이 이러한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 결과를 22일 열린 전기전자공학자협회(IEEE) 주최 국제데이터공학학술대회(ICD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Data Engineering)에서 발표했다. 전산학부 오세연, 윤희용 박사과정이 각각 제 1, 2 저자로 참여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하 정보통신기획평가원(IITP) SW스타랩과 한국연구재단 중견과제의 지원을 받았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 김민수 교수팀이 개발한 지플럭스(GFlux) 기술 모식도(이미지=KAIST)
▲한국과학기술원(KAIST) 김민수 교수팀이 개발한 지플럭스(GFlux) 기술 모식도(이미지=KAIST)

 링크: https://www.irobot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40239&page=9&total=2680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수
» [보도자료] KAIST, ‘엔비디아 통합메모리’ 없이 세계 최고속 그래프 연산 성공 관리자 2025.08.22 152
공지 [보도자료] 아부다비 자율드론 대회, "AI 드론이 인간 조종사 물리치고 우승" 관리자 2025.08.22 125
공지 [보도자료] 전국 고속도로 전 구간 '자율주행차 시범지구' 지정 관리자 2025.08.22 122
공지 [보도자료] 제20회 한국로봇종합학술대회 최우수 논문상 '충북대 김곤우 교수 팀' 차지 관리자 2025.02.17 693
공지 [보도자료] 지능로봇공학과 김곤우 교수, 첨단분야 혁신융합대학사업 교육부 장관표창 수상 관리자 2025.01.24 626
공지 [보도자료]충북대 Clothoid-T팀 '2024 스케일카 자율주행 경진대회' 교육부장관상 수상 관리자 2024.11.26 693
공지 [보도자료] 지능로봇학과 타요이글스 'F1 Tenth Korea Championship 자율주행대회' 준우승 쾌거 관리자 2024.11.06 648
공지 [보도자료] 미래 안보주역들이 보는 군 발전 방향은 (김태민 지능로봇공학과 3학년 최우수상 수상) 관리자 2024.11.04 627
공지 [보도자료] [자막뉴스] '운전자 없어도 이 정도'...자율주행 기술 선보여(이전혁 제어로봇공학전공 박사수료) 관리자 2024.11.04 458
공지 [보도자료] 충북대 Clothoid-R팀, 미래 자동차 기술은 우리가 선도한다! 관리자 2024.09.30 546
공지 [보도자료] 충북대 지능로봇공학과 SUVLab팀, 정찰 드론 기술 앞섰다! 국방부장관배 드론봇챌린지 수목통과 정찰드론 종목 1위 관리자 2024.09.13 14370
공지 [보도자료] 충북대, ‘F1 Tenth 그랑프리 자율주행대회’ 준우승 관리자 2024.06.11 2394
공지 [보도자료] 충북대 자율주행 로봇레이스 `두각' 관리자 2024.05.28 2353
공지 충북대 자율주행 로봇레이스 `두각' 관리자 2024.05.28 2173
공지 [보도자료] 충북대 박찬식 교수, 과학기술진흥유공 장관표창 관리자 2024.05.09 2276
공지 [보도자료]김곤우 충북대 지능로봇공학과 교수, 산업통상자원부장관 표창 수상 관리자 2023.10.18 2464
공지 [보도자료] 첨단기술 융합한 ‘로봇’ 일상화 시대 맞이…업계 움직임도 활기 관리자 2023.05.08 2241
공지 [보도자료] Clothoid-R팀, 2023 자율주행 로봇레이스대회 우수상 수상 관리자 2023.04.20 2354
공지 [보도자료] 국방혁신4.0 상징 국방AI센터, “이공계 석·박사 출신 전문사관 등용하고 데이터 접근성 확대해야” 관리자 2023.03.13 2298
153 [보도자료] 칭화대·상하이 AI 랩, 라벨링 없이 자체 진화하는 LLM 기술 ‘테스트-타임 강화학습(TTRL)’ 발표 관리자 2025.08.22 20
152 [보도자료] 엔비디아, 긴 영상일수록 분석 능력 향상하는 VLM ‘이글 2.5’ 출시 관리자 2025.08.22 19
151 [보도자료] 충북대, IEEE 지능형 차량 심포지엄 논문 발표 관리자 2025.08.22 23
150 [보도자료] 충북대 자율주행 로봇레이스 `두각' file 관리자 2024.05.28 1734
149 충북대 자율주행차연구실 Clothoid팀, ‘2023년 오토웨어(Autoware) 챌린지 국제대회' 3위 입상 쾌거 관리자 2024.01.24 2685
위로